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회

하이브 반대의사 신청 안내

by itemma 2025. 4. 23.
반응형

 카카오톡으로 하이브 주주에게 반대의사 신청 안내가 왔습니다.

주요 내용은 하이브 종목이 권리발생사유로 소규모 합병을 하려고 하는데 반대할것인지 묻는 내용인듯합니다.

 

주식을 오래 했지만 이런 내용을 카톡으로 받을 줄 몰랐기 때문에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매수 청구 권리(주식매수청구권)”는 주주가 회사의 중요한 결정에 반대할 경우, 본인의 주식을 회사에 팔 수 있는 권리예요.

특히 합병, 분할, 영업양도 같은 큰 결정이 있을 때 이 권리가 발생하죠.

쉽게 말해 볼게요:

예를 들어,
하이브가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합병한다고 발표했는데,
아내 분이 "나는 이 결정에 반대야" 라고 공식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시하면,
그에 따라 회사에 “그럼 내 주식 사줘”라고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생겨요.

이걸 주식매수청구권” 또는 “매수 청구 권리”라고 해요.

조건 요약:

  1. 주주총회 전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해요.
  2. 정해진 기간 내에 ‘반대 의사’를 미리 밝히고,
  3. 주주총회 이후 정해진 기한 내에 매수 청구서를 제출해야 해요.

 

매수가격은?

  • 회사가 정한 기준일 전 일정 기간의 평균 주가로 계산되는 경우가 많아요.
  • 시장 가격과 꼭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어요.

 

 실무에서는 어떻게?

  • HTS/MTS에 로그인 → [주식매수청구권 신청 메뉴] 클릭
  • 혹은 고객센터 전화, 또는 지점 방문으로도 신청 가능해요
  • 아내 분 명의의 계좌라면, 위임장이 필요할 수 있어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주식매수청구권이란?

주식매수청구권이란 주주가 회사의 합병, 분할, 영업양수도 등 주요 사항에 반대할 경우, 회사가 주주의 주식을 매수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즉, 회사가 내리는 큰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 주주가 자신의 지분을 처분하고 회사를 떠날 수 있는 안전장치죠.

 

하이브-바이너리코리아 합병에서의 주식매수청구권

이번 합병에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이번 합병은 상법 제527조의3에 따른 소규모합병입니다.

하이브가 바이너리코리아의 지분 100%를 보유한 완전자회사이기 때문에,

신주를 발행하지 않고, 합병 승인도 이사회 결의만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상법상 규정에 의해 주주총회도 생략, 주식매수청구권도 부여되지 않습니다.

 

소규모합병과 주주의 권리 제한

하지만 주주의 권리가 전혀 없는 건 아니에요!

하이브 주식의 20% 이상을 보유한 주주

합병 공고일부터 2주 내에 서면으로 합병에 반대 의사를 통지하면,
이 합병은 소규모합병으로 진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통상적인 절차(주주총회, 매수청구권 등)를 따라야 해요.

 정리

항목 내용

주식매수청구권 발생 여부 ❌ 발생하지 않음
이유 소규모합병이기 때문 (상법 제527조의3)
주주의 대응 방법 발행주식 총수의 20% 이상 주주가 서면 반대하면 소규모합병 불가
주주총회 이사회 결의로 대체됨

 

반응형